본문 바로가기
정신의학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

by 친절한 안과장 2023. 3. 7.
반응형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는 소아, 청소년에서 우울 상태에 있다가 간헐적으로 파괴적 감정발동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그 임상 양상의 핵심은 기분의 변동(조증) 없이 극도의 과민성(irritability)과 빈번한 행동 조절 장애의 삽화이다. 이는 이제 새로이 등장한 병명이기 때문에 아직 자세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는 DSM-Ⅳ에서는 부록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소아에서 양극성 장애의 특징인 기분의 변동(조증) 없이 극도의 과민성과 과각성, 빈번한 행동 조절 장애의 삽화를 보였기 때문에 양극성 장애와 유사하여 흔히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되었다. 이 범주는 DSM-5에서 정식 병명이 되고 우울장애 범주에 포함되었는데, 이는 소아에서 양극성 장애와 과다 진단 및 과다 치료되고 있다고 보는 견해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진단이다. 이 질환으로 진단된 어린이는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거치면서 제1형 양극성 장애보다는 단극성 우울장애나 불안장애가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런 이유로 이 질환이 우울장애 범주에 포함된 것이다. 과각성 관련 증상은 ADHD가 병존한 경우로 본다. 따라서 이는 10세 이하에서 발병한 소아에게서 진단하며, 6세 이전이나 18세 이후에 처음 진단되어서는 안 된다.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의 역학

이 장애는 새로이 개념화된 장애로 연구가 부족하여 현재 발병률은 불확실하지만, 핵심 증상인 만성적이고 심각한 지속적 이 자극성(irritability)의 비율에 기초한다면 소아나 청소년에서 연간발병률은 4%(2~5%) 정도로 추정된다. 최근 수천 명의 2~17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개월 유병률은 0.8~3.3%라고 하며, 학령 전 소아에 많고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고 하였다. 남아가 여아보다 많고, 학령기의 소아가 청소년기보다 더 많다. 동반되는 장애로 우울증이 가장 많았으며, 적대적 반항장애도 많았다.

 

아직 원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유년기의 심리적 외상이나 학대가 원인이라는 이론이 있으며, 불량한 영양상태나 편두통 등의 신경학적 장애가 원인이라는 보고도 있다. 뇌 영상 연구에서 이 장애를 가진 소아는 양극성 장애를 가진 소아와 달리 부정적 얼굴 이미지에 대해 편도의 반응성에서 달랐다. 이 장애를 가진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하면 과제에 대한 좌절을 더 많이 나타내었다. 그리고 부정적 피드백 때 좌절을 매개하는 뇌 회로 중 좌측 편도와 좌우 선조체(공간적 주의와 보상 처리, 감정적 돌발적 표현과 관련된 구조)의 활성이 감소하여 있다고 한다. 그러나 긍정적 피드백 때는 그런 변화는 없었다.

이 장애는 사회적 기능 장애, 정학, 사회복지서비스 사용, 그리고 가난 등과 관련이 깊었다.

 

만성적이고 심각한 지속적 이자극성(irritability)이 핵심 증상이며, 그 외 두 가지 두드러지는 임상 양상은 반복적인 분노 표출과 이런 분노 표출 사이에 존재하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짜증스럽고 화가 난 기분이다. 이자극성이란 좌절에 대한 반응으로, 상황이나 발달 정도에 맞지 않는 언어적(예를 들어, 고함을 지르며 격노) 및 행동적 공격성(예를 들어, 사람이나 물건에 대한 신체적 폭력)으로 나타난다. 즉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데 대한 역치가 낮은 것이다. 그리고 우울, 때때로 다행감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장애는 가족과 학교, 그리고 사회생활에 상당한 곤란을 야기한다. 증상의 발생이 10세 이전에 시작되어야 진단된다.

 

진단 및 예후, 치료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 진단기준은 6~18세 사이에, 12개월 이상, 상황이나 자극에 맞지 않는 발달적으로 나이에 맞지 않는 강한 언어적 및 행동적 분노 표출과 공격적 행동이 주 3회 이상 최소 1년간 가정과 학교 등 두 가지 상황에서 나타나고, 분노 발작 사이에는 짜증이나 화난 기분이 거의 하루 종일, 거의 매일 나타나며, 하루 이상 조증 또는 경조증 진단기준에 맞는 날이 없다.

이 장애는 적대적 반항장애, 간헐적 폭발 장애, 양극성 장애 등과 감별해야 한다. 이들은 같이 동반장애로 나타날 수는 없다.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와 적대적 반항장애 두 가지 모두의 기준을 만족시킬 때는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로 진단한다. 그러나 이는 주요 우울증, ADHD, 품행장애, 물질 사용 장애 등과는 동반될 수 있다.

파괴적 기분 조절 장애를 가진 많은 소아에서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나 불안장애, 물질 사용 장애 및 주요 우울장애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양극성 장애를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 이런 소아가 나중에 정보처리 능력, 얼굴-감정 판단, 의사결정 및 인지적 조절에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 이들이 자라 성인이 되었을 때, 이 장애가 없던 소아에 비해 불안, 우울함이 보다 심했고, 다중 건강 문제를 가졌으며, 교육 수준이 낮았고, 더 가난했으며,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경찰 문제가 많았다.

아직 정립된 치료법은 없으나 우울증 치료에 준하며, 대증요법과 문제 중심 접근으로 치료한다. 분노 표현을 줄이고 감정을 감소시키는 몇 가지 치료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 치료법에는 행동 변화 치료, 행동치료, 부모 및 교사와의 상담 및 교육, 환자의 행동 관찰, 타임아웃 전략, 환경조정 등이 포함된다. 증상에 따라 SSRI 등 항우울제, Ritalin 등의 중추신경 자극제 치료, 항조증약물 등이 시도된다.

출처 최신정신의학 제6판

 
반응형

댓글